테크/활용
[UNIX 명령어 #10] df, du, free, uname, date – 시스템 정보와 디스크 용량 확인
by geonex
2025. 6. 20.
df, du, free, uname, date 명령어란?
df
, du
, free
, uname
, date
는 유닉스, 리눅스, macOS 환경에서 디스크, 메모리, 시스템, 시간 정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필수 명령어이다.
시스템 상태 진단, 용량 관리, 서버 운영 시 자주 활용된다.
1. df, du – 디스크 용량 확인
명령어 |
용법 |
설명 |
df |
df -h |
모든 파일시스템의 사용량/남은 용량을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|
df |
df /home |
/home 파티션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한다 |
du |
du -sh * |
현재 폴더 내 파일/폴더별 용량을 요약해 표시한다 |
du |
du -h --max-depth=2 /var |
/var 폴더 하위 2단계까지의 용량을 계층별로 표시한다 |
2. free, uname, date – 시스템 정보 및 메모리, 시간
명령어 |
용법 |
설명 |
free |
free -h |
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MB/GB 단위로 출력한다 |
uname |
uname -a |
운영체제 커널, 호스트명, 아키텍처 등 시스템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한다 |
date |
date |
현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출력한다 |
date |
date "+%Y-%m-%d %H:%M:%S" |
지정한 형식(연-월-일 시:분:초)으로 날짜와 시간을 출력한다 |
3. 실전 활용 예시
- 서버 전체 디스크 용량 확인
df -h
: 파일시스템별 전체 용량, 사용량, 남은 공간을 확인한다
- 폴더별 용량 요약
du -sh *
: 현재 폴더의 각 파일, 폴더 용량을 한눈에 확인한다
- 메모리 사용량 확인
free -h
: 전체/사용/남은 메모리, 스왑 공간을 요약해 출력한다
- 시스템 정보 전체 확인
uname -a
: 커널, CPU, 배포판 등 시스템 정보를 확인한다
- 현재 시간만 원하는 형식으로 출력
date "+%Y-%m-%d %H:%M:%S"
: 연-월-일 시:분:초 형태로 날짜/시간을 출력한다
4. 알아두면 좋은 점
- df와 du는 옵션에 따라 요약(-s), 사람 읽기 쉬운 단위(-h) 등 다양한 출력 방식이 있다
- free는 리눅스 표준이며, macOS에서는
vm_stat
을 사용할 수도 있다
- uname은 시스템, 커널, 하드웨어 정보까지 한 번에 보여준다
- date는 백업, 로그 자동화 등 스크립트에서 널리 활용된다
5. 정리
df, du, free, uname, date 명령어는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디스크, 메모리, 시스템, 시간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필수 도구이다.
서버 운영, 용량 진단, 시스템 유지관리,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에 적극적으로 활용된다.